어쩌다 IT
article thumbnail
반응형

 

정보처리기사 이 빌어먹을 자격증을 1년 넘은 시간만에 합격했다.

23년도 2회차(1트) 59점인가로 떨어지고 3회차(2트) 55점으로 떨어지고...

2024년 1회차(3트)를 64점 운 좋게 턱걸이로 합격했다.

치면 칠수록 머리에 남는 시험이 아니라 정도 의욕도 떨어지는 시험을 떠나보내는 글을 쓸 수 있게 되어 기쁜 마음이다.


시험 준비

처음 실기 준비할 때부터 수제비 책과 인강을 통해 준비를 했다.

1트 합격 발표하는 날 59점 받았을 때...

'조금만 더 하면 되겠다.'라는 근거 없는 자신감에 나태해졌고. 그 결과로 2트에 55점으로 불합격을 했다.

23년 3회차와 24년 1회차 사이에 텀이 너무 길었던 3트는...

너무너무너무 공부가 하기 싫었다.

 

2트 탈락 후에 인터넷 강의도 끝이 났지만 불합격 인증하면 한 달 연장해주는 이벤트가 있었고,

이게 무슨 자랑이냐 싶으면서도 또 인강을 끊고 싶지는 않아서 당당하게 불합격 인증을 했다.

하여 4월 1일부터 시험 전날까지 인강으로 보충을 하고자 했다.

 

3월 중순 쯤부터 흥달쌤의 문풀 프로그래밍 언어를 보면서 C언어, Java, 파이썬 위주로 공부를 했다.

4월 1일부터 수제비 인강과 수제비 카페에서 진행하는 4주 스터디에 참여하면서 공부를 진행했다.

특히 프로그래밍과 SQL 쪽에서는 최대한 점수를 따자는 생각으로 그 부분을 집중적으로 했던 것 같다.


시험 후기

12과목 중에 2과목에서 거의 10문제가 나오고,

나머지 10과목 중 물론 비중이 큰 과목도 있지만 나머지 10문제가 나오는 괴랄한 시험에 의욕도 잃었었다.

많은 사람들이 그럴 것이라 생각한다.

 

'시험은 운이다.' 라고 생각한다.

물론 내가 노력한 부분들이 바탕이 되겠지만, 찍어서 맞고, 나랑 잘 맞는 문제들이 나오는 것은 운에 달린 것 아니겠는가.

 

이번 24년 1회차에서 문제 오류로 인한 전원 정답으로 추정되는 문제가 1개 있었다.

가채점 결과 59점이었는데, 그 문제 덕분에 운 좋게 간신히 합격했다.

 

정보처리기사를 준비하는 모든 분들에게 행운이 있기를 바라며...

마지막으로 합격 인증!!!

 

 

 

 

반응형
profile

어쩌다 IT

@jwlish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